728x90 온유함5 모세를 향한 시기(민12:1-16) 모세를 향한 시기 (민수기 12:1-16) 1. 미리암과 아론의 질투 미리암과 아론은 모세의 특별한 위치와 하나님과의 친밀한 관계를 질투하여 비난을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모세의 구스 여인을 문제 삼으며 그의 권위를 흔들려 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가족 간의 갈등을 넘어 하나님의 선택과 계획에 도전하는 행위였습니다. 특히, 미리암과 아론의 태도는 공동체에서 지도자를 향한 비판이 얼마나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태도는 하나님이 세우신 질서를 부정하고, 그분의 권위를 훼손하는 행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질투는 마음에서 시작되지만, 결국 행동으로 나타나 공동체의 화합을 깨뜨리는 주된 요인이 됩니다. 2. 하나님의 심판 하나님은 미리암과 아론의 비난에 즉.. 2024. 12. 10. 서로 다른 두 지혜(약 3:13-17) 서로 다른 두 지혜: 약 3:13-17참된 지혜의 행위야고보서 3장 13절에서 17절은 지혜에 관한 중요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야고보는 참된 지혜가 무엇인지 설명하며, 그것이 우리의 삶에 어떻게 나타나야 하는지 가르칩니다. 참된 지혜는 단순히 지식이나 이해력이 아니라, 우리의 행위와 태도를 통해 드러납니다. "너희 중에 지혜와 총명이 있는 자가 누구냐 그는 선행으로 말미암아 지혜의 온유함으로 그 행함을 보일지니라" (약 3:13).참된 지혜는 겸손과 온유함에서 비롯됩니다. 이는 다른 사람을 섬기고, 그들의 필요를 먼저 생각하는 태도로 나타납니다. 지혜로운 사람은 자신의 지식을 자랑하거나 뽐내지 않으며, 오히려 다른 사람들을 배려하고 그들에게 유익을 주려고 합니다. 참된 지혜는 말로만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2024. 6. 20. 국민으로서의 성도(딛 3:1-8) 국민으로서의 성도 (딛 3:1-8) 1. 성도의 적극적 의무 서론: 성도의 두 가지 정체성 성경은 우리에게 여러 가지 정체성을 부여합니다. 그 중에서도 '성도'와 '국민'이라는 두 가지 정체성은 우리의 일상과 신앙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디도서 3장 1-8절은 이러한 정체성에 대해 매우 명확하게 가르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디도서의 가르침을 통해 성도로서 우리가 어떤 의무를 지니고 있는지, 그리고 우리의 경건한 삶이 어떠한 동기를 가져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본론1: 순종과 선행의 중요성 디도서 3장 1절은 우리에게 "통치자들과 권세 잡은 자들에게 복종하며 순종하고 모든 선한 일에 준비하라"고 권고합니다. 이는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 속에서 법과 규칙을 준수하고.. 2024. 6. 3. 주의 사역자(딤후 2:20-26) 주의 사역자: 디모데후서 2:20-26을 중심으로 디모데후서 2:20-26을 중심으로 성경은 우리에게 주의 사역자가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하는지에 대해 많은 교훈을 줍니다. 그 중에서도 디모데후서 2:20-26은 주의 사역자가 주께서 정하신 사역자, 쓰임받는 사역자, 그리고 감싸주는 사역자가 되어야 함을 강조합니다. 이 글에서는 이 세 가지 교훈을 중심으로 주의 사역자의 올바른 태도를 살펴보겠습니다. 1. 주께서 정하신 사역자 디모데후서 2:20-21에서는 "큰 집에는 금 그릇과 은 그릇뿐 아니라 나무 그릇과 질그릇도 있어 귀하게 쓰는 것도 있고 천하게 쓰는 것도 있나니 그러므로 누구든지 이런 것에서 자기를 깨끗하게 하면 귀히 쓰는 그릇이 되어 거룩하고 주인의 쓰심에 합당하며 모든.. 2024. 5. 29. 이전 1 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