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메추라기3

탐욕에 대한 보응(민11:31-35) 탐욕에 대한 보응 (민수기 11:31-35) 민수기 11:31-35는 이스라엘 백성이 경험한 하나님의 공의와 탐욕에 대한 보응을 중심으로 한 중요한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이 구절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이 어떤 방식으로 인간의 탐욕을 다루시는지, 그리고 그 탐욕이 우리의 삶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의 여정은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신뢰와 순종을 배우는 과정이었지만, 그들은 여러 번 불만과 불평을 터뜨리며 하나님의 뜻을 거스르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민수기 11장은 바로 그런 사건들 중 하나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구절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중요한 요소를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교훈을 살펴보겠습니다. 1. 메추라기를 주심 이스라엘 백성.. 2024. 12. 9.
인자하신 하나님(출16:4-12) 인자하신 하나님 (출애굽기 16:4-12) 1. 만나를 주시는 하나님 이스라엘 백성은 광야에서 배고픔에 처했고,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하나님께서는 하늘로부터 만나를 내리셨습니다. 하나님께서 주신 이 양식은 백성들이 하루하루 살아가는 데 필요한 양을 공급하셨습니다. 이 사건은 하나님의 공급하심과 자비를 나타내는 중요한 순간이었으며, 그분은 그들의 생존을 책임지셨습니다. 만나의 의미는 단순한 음식 이상의 것이었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은혜와 돌봄을 상징하며, 하나님께서 그들 곁에 계시고 그들을 보호하신다는 확신을 심어주셨습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필요한 순간에 필요한 것을 공급하시는 분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신 만나처럼, 우리에게도 하나님께서는 항상 적절한 때에 은혜와 축복을.. 2024. 10. 8.
양식으로 인한 시험(출16:1-12) 양식으로 인한 시험 (출애굽기 16:1-12)1. 양식이 없어 백성이 원망함이스라엘 백성은 애굽에서 노예 생활을 끝내고 광야로 나왔지만, 그들의 여정은 생각보다 고난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애굽 군대의 추격을 받았고, 그 후에는 물이 없는 마라에서 쓴 물을 만났으며, 이제는 양식이 떨어진 상태에서 광야 생활을 이어나가야 했습니다. 그들은 배고픔을 참지 못하고 모세와 아론을 향해 원망을 터뜨리기 시작했습니다.백성들은 애굽에서 노예로 살았을 때, 억압받았던 것보다는 그곳에서 얻었던 음식들을 그리워했습니다. 그들은 "애굽에서 고기 가마 곁에 앉아 배불리 먹을 때가 좋았다"고 불평하며, 하나님께서 그들을 이끌어내신 목적을 의심했습니다. 이처럼 이스라엘 백성의 원망은 단순한 불만을 넘어 하나님에 대한 .. 2024. 10. 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