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은혜51 초막절(2)(레23:39-44) 초막절(2)(레23:39-44) 초막절(2)은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께서 주신 약속을 기억하며, 하나님께 드리는 감사의 절기입니다. 이 절기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은 추수의 기쁨을 나누고, 과거의 고난을 되새기며, 나그네 생활의 예표를 되새기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막절이 지니는 깊은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1. 추수의 기쁨일 감사했다 초막절은 하나님께서 주신 풍성한 수확에 대한 감사의 절기입니다. 이 절기는 추수 후, 하나님께서 주신 모든 양식에 대해 감사를 드리는 시간이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자신들이 수고하며 얻은 열매를 하나님께 드리며, 그분의 은혜와 축복을 고백했습니다. 초막절은 수확의 기쁨을 나누고, 그 기쁨을 하나님께 돌리는 절기였습니다. 추수의 기쁨을 나누는 이유 .. 2024. 11. 23. 하나님을 기쁘시게(레22:17-25) 하나님을 기쁘시게 (레22:17-25) 1. 하나님을 기쁘게 하는 것은 제사이다 하나님께서는 인간이 자신을 향한 믿음과 순종을 표현하도록 제사를 명하셨습니다. 제사는 단순한 의식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깊이 있게 만들어주는 방법입니다. 이는 우리의 죄를 깨닫고, 우리의 연약함을 인정하며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는 마음으로 드리는 것입니다. 제사를 통해 하나님은 인간의 헌신과 감사를 받으시고, 그 관계가 더욱 견고해집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제사를 드리며 하나님을 경외하는 태도를 유지했습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주신 율법을 지키고, 그의 거룩함에 따라 살아가는 중요한 행위였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예배와 기도를 통해 하나님께 제사를 드립니다. 우.. 2024. 11. 22. 명령을 지키라(레19:23-37) 명령을 지키라 (레19:23-37)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신 명령들은 단순한 규칙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은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의 거룩하심을 반영하고, 그분의 백성으로서 세상과 구별된 삶을 살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이 명령에는 하나님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이웃과의 관계 속에서도 거룩함과 의로움을 지키라는 요청이 담겨 있습니다. 본문에서 강조된 세 가지 주요 교훈을 중심으로 하나님의 명령의 깊은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1. 하나님께 드리라: 첫 열매의 의미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에 들어가 처음 열매를 맺었을 때, 그 열매는 하나님께 드려야 했습니다. 이는 수확의 모든 과정이 하나님의 은혜로 이루어졌음을 인정하는 신앙적 고백입니다. 농사를 짓는 백성에게 첫.. 2024. 11. 18. 속죄 제사(레6:24-30) 속죄 제사 (레위기 6:24-30) - 하나님의 거룩한 속죄의 은혜레위기 6:24-30은 속죄 제사에 대한 중요한 규례를 제시하며,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속죄의 의미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 말씀은 속죄 제사를 통해 나타나는 하나님의 거룩함과 그 제사가 우리에게 주는 영적 교훈을 잘 보여줍니다. 속죄 제사는 단순한 제사 이상의 깊은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이는 우리의 신앙 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제 이 속죄 제사의 세 가지 핵심 요소인 ‘속죄제 희생의 거룩함’, ‘거룩한 곳에서 먹어야 하는 제사’, 그리고 ‘거룩한 곳에서 빨아야 하는 제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1. 속죄제 희생은 지극히 거룩하다 - 희생의 중요성속죄 제사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위해 세우신 제사로,.. 2024. 11. 6. 이전 1 2 3 4 5 6 ··· 13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