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정결21 고하며 이르라(레4:1-12) 고하며 이르라 (레위기 4:1-12)레위기 4장에서는 제사장의 죄와 그 죄를 사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말씀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 앞에서 제사장의 책임과 역할, 그리고 죄를 사하는 과정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거룩하신 분이기 때문에, 그분 앞에 나아가는 자들은 거룩함을 지켜야 합니다. 따라서 제사장이 죄를 지을 경우, 이를 속죄하는 특별한 제사의 절차가 마련되어 있습니다.1. 제사장의 범죄레위기 4장에서는 제사장이 죄를 범했을 때 이 죄가 단지 개인적인 잘못으로 끝나지 않음을 보여줍니다. 제사장은 이스라엘 백성을 대표해 하나님 앞에 서는 자로서, 그의 죄는 공동체 전체의 신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제사장은 백성들이 하나님과 바른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2024. 11. 4. 제사 방법(레1:1-9) 제사 방법 (레위기 1:1-9)1. 소나 양을 드려라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께 나아가 제사를 드릴 때, 소나 양과 같은 동물을 제물로 삼아 드렸습니다. 이러한 제물은 단순히 희생의 대상이 아닌, 하나님께 대한 깊은 헌신과 감사의 상징이었습니다. 소와 양은 당시 사람들의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가축으로, 농사와 생활에 필수적인 자산이었습니다. 따라서, 그 소중한 가축을 제물로 드린다는 것은 자신들의 소유를 하나님께 온전히 바치는 헌신의 의미를 담고 있었습니다. 또한 이러한 제물을 드리는 행위는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베푸신 풍성한 은혜와 공급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볼 수 있습니다.소나 양을 선택한 것은 단순한 자산의 상징을 넘어,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나님 앞에서 드리는 모든 헌물은 중요한 자산일수록 가치가 .. 2024. 11. 3. 속전과 물두멍(출30:11-21) 속전과 물두멍 (출애굽기 30:11-21) 출애굽기 30장 11절부터 21절까지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어진 생명의 속전과 물두멍에 관한 지침을 다루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성막에서 섬기는 제사장들과 백성들이 깨끗하고 거룩하게 예배를 드리도록 명령하셨습니다. 이 글에서는 생명의 속전과 물두멍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오늘날 우리가 배울 수 있는 교훈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1. 생명의 속전이란 무엇인가?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그들의 생명을 속하기 위해 속전을 드리라고 명령하셨습니다. 출애굽기 30:12-16절에서는 하나님께서 인구 조사를 할 때 각 사람이 드려야 할 속전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는 모든 사람이 생명의 가치를 인정받고, 하나님의 보호하심을 받기 위한 상징적.. 2024. 10. 22. 그리스도의 일꾼(고후 6:1-10) 그리스도의 일꾼으로서의 삶 고린도후서 6장 1-10절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일꾼에 대한 메시지는 신앙생활의 깊은 통찰을 제공합니다. 이 구절들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를 받아들이고, 그 은혜 안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세상 앞에서 그리스도의 모본이 되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중요한 교훈을 배울 수 있습니다. 1. 그리스도의 일꾼은 은혜를 받아야 한다 그리스도의 일꾼으로서 우리의 사명은 하나님의 은혜 없이는 시작할 수도, 지속할 수도 없습니다. 은혜는 우리의 구원뿐만 아니라, 우리가 맡은 사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힘과 지혜를 제공합니다. 고후 6:1에서 바울은 우리에게 하나님의 은혜를 헛되이 받지 않도록 촉구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은혜가 우리 삶에서 활성화되고 실현되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2. 계속적인.. 2024. 4. 7. 이전 1 2 3 4 5 6 다음 728x90